본문 바로가기
0.이런저런 이야기

교회 공동체 내에서의 역할(디모데후서 2장)

by [PRO]HYUN 2020. 7. 1.
반응형

교회에서 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디모데후서 2장으로 설명할 때가 많습니다

2절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내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

이하의 내용은 사람이 사람에게 공동체 안의 역할을 감당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라는 것입니다

3절 병사, 5절 경기하는 자, 6절 농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7절 내(바울)가 말하는 것을 생각해 보라 주께서 범사에 네(디모데)게 총명을 주시리라

바울이 그동안 디모데에게 교육했던 부분을 생각한다면,

모든 일에 똑똑함^^을 주께서 주신다고 이야기합니다

즉, 멘토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20절 이하에서는 그릇를 비유로 역할의 다양을 이야기합니다


21절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런 것에서 자기를 깨끗하게 하면 귀히 쓰는 그릇이 되어 거룩하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선한 일에 준비함이 되리라
If a man cleanses himself from the latter, he will be an instrument for noble purposes, made holy, useful to the Master and prepared to do any good work.

여기서 나누고자 하는 것은

1. 자기를 깨끗하게 하는 방법

2. 귀히 쓰는 그릇이 되는 방법

3. 거룩하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선한 일에 준비 되는 방법

 

여기서 혼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깨끗하게 하면 -> 귀히 쓰는 그릇이 되고 -> 주인의 쓰임이 합당함의 상태로 준비된다고 하는데
원죄를 지닌 우리가 깨끗하게 할 수 있을까요?

“할 수 있다”로 시작한다면, 교만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방에 있는 그릇을 봤습니다
아무리 비싼 그릇이라 할지라도 스스로 씻을 수 없습니다
아무리 큰 그릇이라도 주인의 손까지 굴러서 갈 수 없습니다
주인이 씻어주고, 주인이 쓰고 안쓰고를 결정합니다

결론은 주인을 잘 만나야 깨끗해지고, 잘 쓰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삶의 주인이 “ㅇㅇ”이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에서는 이를 “고백”이라고 하지요

돈이 주인이면 돈의 흐름에 마음을 둡니다
명예가 주인이면 주변 평판에 모든 신경을 집중합니다
그럼, 하나님이 주인이라면요?
하나님에게 마름을 두고 신경을 집중합니다

공동체에서 역할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했지만,
결국 제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공동체의 주인이 누구이냐는 물음을 던지고자 합니다

교회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