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 자료/1) 영상

GRIT

by [PRO]HYUN 2018. 12. 28.
반응형

열정은 한순간 미친 듯이 좋아하는게 아니다

열정은 강도가 아니라 지속성이다

좋아하는 것이라도 미친 듯이 힘들 때가 있다

그걸 이겨내는 것이 열정이다

G R I T

 

누구나 무언가를 시작할 때는 열정적입니다.

새로운 취미를 시작할 때,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새로운 사랑을 시작할 때,

우리에게는 설렘이 있고, 열정과 목표가 있습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힘든 순간이 옵니다

실력이 늘지 않는 순간,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순간이 오면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지루해', '노력할 가치가 없어', '이건 내가 중요한 일이 아니야'

그리곤 다른 일, 다른 사람을 찾습니다

그 다른 것을 열정적으로 시작하면서 말합니다

자신을 열정적인 사람이라고

과연 그 사람들이 정말 열정적인 사람일까요?

 

GRIT 의 저자 Angela Lee Duckworth는 말합니다

열정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열정은 한 순간 미친 듯이 좋아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설렘입니다

그런 설렘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열정은 강도가 아니라 지속성입니다

힘든 순간에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자기 일을 사랑하는 끈기가 열정입니다

인생은 100m 달리기 아니라 마라톤입니다.

Angela Lee Duckworth는 이 끈기있는 열정을 GRIT 이라 표현합니다

GRIT 2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실패한 뒤에도 계속 도전할 수 있는 끈기와 한 가지 일에 몇 년간 지속해서 집중할 수 있는 열정입니다

그녀는 이 GRIT 의 핵심요소임을 수천명의 군인, 학생, 예술가들을 연구하면서 밝혀냈습니다

GRIT 을 통해 열정적 끈기란 무엇이고, 재능보다 GRIT 이 중요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육군 사관학교 WEST POINT에는 전설적인 훈련기간이 있습니다

입학하자마자 2달 뒤에 이루어지는 7주간의 이 훈련은 이름마저 THE BEAST라고 합니다

중퇴한 20%의 입학생 중 대부분이 이 훈련 때문에 그만 둔다고 합니다

단순한 입학생이 아닌 높은 수능점수와 체력점수를 가진 엘리트들이 떨어져 나갑니다

7주간의 지옥훈련을 견디는 사람들의 특성은 수능점수도 아니었고, 체력점수도 아니었습니다

GRIT 이었습니다

끈기있게 자신의 일에 매달리는 사람들

큰 야망을 품은채 자신의 실력이 부족하다며 계속 연습하는 사람들

연습의 과정이 지루하고 좌절스러워도 열정을 지속시킬 수 있었던 사람들이 끝까지 남아 졸업할 수 있었습니다

 

군인 뿐만 아니라 영업직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GRIT 이 마지막 성공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지표였습니다

열정의 지속성이 이렇게 중요하지만 무시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속하는 과정은 지루하기 때문입니다.

 

니체가 말합니다

'모든 완전한 것에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묻지 않는다.

우리는 마치 그것이 마법에 의해 땅에서 솟아난 것처럼 현재의 사실만을 즐긴다

아무도 예술가의 작품 속에서 그것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보지 못한다

그 편이 나은점이 있다

작품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보게 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반응이 다소 시들해지기 때문이다'

 

결과만 보이기 때문에 재능에 열광한다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열정의 지속성이기 때문인데 말이지요

 

Angela Lee Duckworth는 우리가 재능을 믿는 이유

'천재를 부러워하는 진짜 속마음은 경쟁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라고 말합니다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하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고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니까요

자신의 현재상태를 재능으로 설명하면 위로가 됩니다

노력이 부족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그러나, 그 뿐입니다

더 이상의 발전은 없습니다

 

이렇게 말해도 누군가는 그래도 재능은 있어

수영선수 펠프스를 봐봐

우사인 볼트를 봐봐

라고 말합니다

그런 분에게 책 GRIT 의 한 구절을 통해 제대로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과 잠재력을 발휘하는 것은 다르다

재능은 분명이 있습니다. 잠재력의 차이도 분명이 있죠

그러나, 대부분 사람은 그것을 무색할 만큼 지속적으로 실력을 쌓지 않습니다

조금해보다가 어려움에 부딪히면 다른 것에 관심을 돌립니다

그리곤 부러워합니다

GRIT을 가지고 실력을 쌓은 상위 0.1%

사실을 자신보다 잠재력이 더 작았던 사람인데 말이죠

그리고는 핑계를 댑니다.

'쟤는 재능이 있어서 저래'

 

마지막으로 책의 내용중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열정이란, 발견하고 키울 수 있는 감정이라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이것저것 해봤다는 것이 당신에게 GRIT이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열정을 계속해서 쏟아부을만한 일을 찾기조차 쉽지 않은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GRIT을 가진 사람도 처음부터 한가지 대상에 모든 열정을 쏟아 부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여러 가지 다른 일도 해보고 직업을 바꿔보면서 천직을 찾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Angela Lee Duckworth는 이렇게 말합니다

지금 자기 직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부럽겠지만, 그들은 우리와 출발점부터 달랐다고 가정해서는 안된다

그들도 무엇을 하고 살지 정확히 알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그러니 20대때 이것저것해보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사람들을 만나고 다양한 활동을 해봐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조금씩 찾을 수 있습니다

남은 일생동안 모든 열정을 지속적으로 부어도 아깝지 않을 대상을요

그런 뒤 GRIT 을 가져봅시다

내가 좋아하는 대상을 몇 년이고 열정을 부어봅시다

재능 따위 부러워하지 말고 내 모든 잠재력을 발휘해 봅시다

 

그러면 어느 날 그런 순간이 올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당신의 능력을 보고

당신은 타고났군요

재능이 뛰어나요

라고 말하는 순간이 올 것입니다

 

그 때 부디 이렇게 말해주세요

재능이 아닙니다

노력입니다

열정이 아닙니다

끈기 있는 지독한 열정입니다

반응형